한지형마늘 심는시기, 재배 방법과 주의사항은 무엇일까요?
한지형마늘 심는 시기와 방법
마늘은 대표적인 겨울 작물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재배되어 지역마다 특색있는 품종이 자리잡고 있죠. 그래서 자신의 지역에 맞는 품종을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오늘은 가을에 심어 내년에 수확하는 한지형 마늘의 심는 시기와 재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늘 심는 시기
마늘에는 크게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이 있어요. 난지형 마늘은 9월 중순부터 10월 중순에 심고, 한지형 마늘은 10월 초순부터 10월 하순에 심습니다.
한지형 마늘은 겨울이 오기 전에 잎이 나오면 한파에 의해 잎이 얼어 죽기 때문에, 겨울이 지나고 봄에 잎이 자라도록 심어야 합니다. 반면 난지형 마늘은 겨울이 오기 전에 어느 정도 자란 후에 월동을 합니다.
마늘 재배 방법
- 종구 준비하기
마늘은 씨앗이 아닌 종구(씨마늘)를 심어요. 지역에 맞는 건강한 종구를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 상처가 있거나 뿌리가 끊어진 종구는 피하세요.
- 밭 만들기
마늘 밭을 준비할 때는 밑거름을 잘 주는 게 중요해요. 종구를 심기 1-2주 전에 퇴비와 석회를 뿌리고 깊이 갈아주세요. 그리고 종구를 심기 1-2일 전에는 토양 살충제나 화학비료를 뿌려주면 좋습니다.
- 종구 심기
마늘 두둑은 폭 100cm, 높이 15cm 정도가 적당해요. 가장자리에서 10cm 띄워 두둑 위에 20cm 간격으로 골을 파고, 10cm 간격으로 종구를 심습니다. 골 깊이는 6-7cm 정도로 해주세요.
- 관리하기
겨울에는 건조하지 않도록 조금씩 물을 주세요. 마늘이 가장 자랄 때(4월 하순~6월 중순)에는 물을 충분히 주는 게 중요합니다.
웃거름은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3회 정도 주는 것이 좋아요. 요소와 황산칼리를 주면 좋은 품질의 마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늘쫑이 올라오면 2-3회에 걸쳐 제거해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양분 분산으로 마늘통이 제대로 자라지 않아요.
병충해 관리도 중요해요.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진딧물 등이 주요 문제인데, 예방 위주로 관리하는 게 좋습니다.
마늘은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재배되어 왔지만, 지역마다 기후와 토양 환경이 달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해요. 이 글을 참고해서 여러분의 텃밭에서도 좋은 마늘을 수확하시길 바랍니다!
댓글